<기고> 사회성의 기초와 실천: 계륵(鷄肋)과 말(語)의 적절성
<기고> 사회성의 기초와 실천: 계륵(鷄肋)과 말(語)의 적절성
  • 성광일보
  • 승인 2020.06.17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항석 / 논설위원
정항석
정항석

219년 3월 어느 날(이었다.

“버리기는 아깝고 먹을 것은 없다는 것이군(棄之如可惜 食之無所得)!”

군중(軍中)의 한 모사가 중얼거렸다. 그는 후한 말기 위나라의 양수(楊脩 175-219년)이다.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脩傳)>에 따르면 덕조(德祖)를 자로 하는 그는 조조(曹操) 휘하에서 주부(主簿)로 근무하고 있었고, 학문에서 그 재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문을 좋아하고 재주가 뛰어났다(好學有俊才).’

그런 그가 혼잣말을 하면서 그날의 암호인 ‘계륵(鷄肋)’을 풀이했다. 당시 촉(蜀)의 유비(劉備)가 한중(漢中)을 점령하자, 조조(曹操)는 이에 못마땅하였다. 조조는 한중을 차지하기 위해서 촉나라와 전쟁을 하였으나, 이 지역은 몹시 험준하였다. 한중은 섬서성(陝西省)과 사천성(泗川城)의 중간에 한강(漢江)이 흐르는 중간지역으로 미창산(米倉山)과 대파산맥(大巴山脈)으로 둘러진 곳이다. 일설에는 항우가 유방을 한중왕으로 허울 좋게 감투를 주고 쫒아버린 지역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쓸모가 없는 곳이다. 이러한 그곳에서 전쟁은 장기전이 되고 지친 병사들은 군영을 이탈하고 있었다. 조속히 끝내야 하는 상황에서 조조는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시기적으로도 3월이다. 겨울의 끝 무렵이었으나 전쟁은 질질 끌고 결판이 나지 않으니 군사들의 동요 없이 돌아갈 궁리를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후한서(後漢書)>와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무제기(武帝紀)>에는 ‘위나라 군사가 한중(漢中)에 임하여(軍遮要以臨漢中) 마침내 양평(陽平)에 도착했을 때이다(遂至陽平)’라고 전한다. 조조가 명령하기를 ‘계륵’이라 하였다(出令曰雞肋). 관속(官屬)들은 그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官屬不知所謂). 하지만 조조의 속내를 알아차린 양수는 짐을 꾸려 돌아갈 차비를 하였다(主簿楊脩便自嚴裝). 세간에 알려져 있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는 군령을 어기고 군사를 동요하게 하였다는 것으로 양수가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러한 일화는 ‘알아도 때에 맞게 말을 해야 한다’라는 교훈을 준다.

이에 대하여 정통 역사서인 진수(陳壽 233-297)의 <삼국지(三國志)>에는 다르게 나온다. 또한 <삼국지 위서 무제기>에는 조조가 양수를 미워하게 된 것은 조조의 아들, 조비와 조식 사이에 있었던 권력다툼에 양수가 희생되는 것으로 전한다. 묘하게도 양수의 생몰의 끝은 219년이다. 철군이 있던 해와 사망연대가 같다. 양수는 후한 말기 태위를 지낸 양표(楊彪 142-225)의 아들이다. 아버지보다 먼저 갈 수 밖에 없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말은 그 영향력과 함께 화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지식은 시대를 읽어내는 데 다소 다른 감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러준다.

대체로 조조와 양수와 관련한 이야기는 계륵(鷄肋)을 중심으로 회자되는 것이나, 다른 각도에서 보면 말의 무게감이며 또한, 상황에 대한 대안적 판단이 요구된다는 연장적 시각을 수반한다. ‘계륵, 즉 닭갈비는 버리기는 아깝고 먹을 게 없다. 위왕(조조)은 이를 한중에 비유해서 이른 것이니 철군을 뜻하는 것이다. 그러니 돌아갈 준비를 하라는 것이다’라고 말을 쉬이 해버린 양수는 말로 자신을 돋보이려고 했으나 이것이 오히려 화근이 되었다. 조조의 의중은 이랬다. 자신의 속내를 너무 쉽게 알아차린 양수가 미웠을 것이나, 무엇보다 전략적으로 한밤중 경계의 느슨함 속에 적이 쳐들어오면 그야말로 무방비 상태에서 패전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가볍게 말을 해버린 양수의 자세는 군사참모로서 부적절했다. 주부라는 벼슬이 오늘날 어떠한 사회적 위치에 해당하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그의 말 한마디에 조조를 제외한 전군이 고향에 돌아갈 마음에 들떴고, 군졸이 전장에서 가져야 할 마음을 놓아버리게 하였다. 생사를 알 수 없는 곳에서 큰 오판이 아닐 수 없다. 말하자면, 외교와 안보에 관한 공식적 표현은 허투로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의 정치와 사회는 어떤가! 둘러보자!

올해는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그리고 외적으로도 힘든 상황이다. 일본열도의 아베(安倍 晋三) 내각의 끊임없는 빈정거림, 중국공산정권의 압박 등이 그것이다. 물론 언제나 내외적으로 변화와 동시에 도약의 기로도 열려 있다. G7에 한국의 참여가 그것이다. 국제적 인식의 변화 등을 일러주는 좋은 소식이다. 그러나 국제적 위상은 실질이 수반되어야 한다. 근본적으로 한국은 여전히 분단국가이다. 북한의 여하한 군사적 도발과 긴장 유도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결코 이롭지 못하다. 비록 간헐적인 것이라고 하여도 6월 들어 북한의 신경질적 반응이 나오고 급기야는 국가간 대사관에 해당하는 남북한 연락사무소를 폭파하였다. 남북한 당국자들이 한 건물에서 근무하며 교류하고 소통하던 곳이다. 상징성이 큰 것이다. 표면적으로 폭파의 원인은 ‘한국의 보수단체들의 대북비하전단지 살포’이다. 이외에도 이러한 비상식적인 행위는 북한의 내적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의 입장에서 주시되어야 한다. 그동안 한국정부의 대북정책의 성과로 나타날 지표 중의 하나라는 것에 인식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했다. 그런데, 여당 정치지도층에서 너무나 가벼운 말이 노출되었다.

‘(대)포로 폭발을 하지 않은 게 어디냐!’

16일 어느 국회의원의 말이다. 뒤늦게 북한의 이 같은 행동에 항의성 표현으로 바꾸었으나 그 의중은 간파되듯 노출되었고 그 동안 북한에 대한 의식과 그 태도를 엿보게 하였다. 남북관계는 미묘하고 복잡한 구도의 DNA처럼 이루어져 있다. 어떠한 인자와 변수만으로도 사회적 갈등의 원인과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보수단체들이 현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난과 조소를 할 거리를 찾는 상황에서 이러한 의중표출은 너무도 가벼웠다. 비단 이것이 아니라고 하여도 북한을 감싸는 듯한 표현도 그렇지만, 어떠한 계획적 접근으로 하는 대북정책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다른 것으로 가린다고 하여도 의혹의 눈초리를 받고 있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 것도 아닐 것이다. 그동안 김대중 정부의 대북화해협력정책, 노무현 정부의 대북평화번영정책 그리고 현 정부의 평화적이고 유화적인 대북정책 등은 사실상 북한의 변화를 생산적으로 이끌지 못했다는 결과적 비판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당연하지만,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1913-1992) 총리의 동방정책(Ostpolitik)이 그러하듯 한국의 대북정책 역시 장기적이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도 오랜 시간과 비용을 소요한다는 비난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동시에 심리적으로도 멀리 두고 보았던 서독의 유화적 정책은 결국 통일을 만들었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안일해서도 가벼워서도 그리고 계획성이 없어서는 더더욱 아니 된다.

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것이다. 정말 장기적인가! 정부 임기 중 업적을 위한 단기적인 것이 아니라 국민적 합의에 따른 청사진인가! 적어도 국회와 그 전문가들의 의견이 개진된 기획과 계획이 있어야 했다. 그렇다면, 북한이 ‘나를 보아달라는 식’의 인정투쟁(Recognition Struggle) 전술을 보인다고 하여도 멀리 보아야 할 평화적 통일의 여정에서 가볍게 속내를 비추는 표현이 부지불식간에 나오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위의 표현은 아마도 개인적인 견해로 치환할 것이다. 하지만, 그는 정치지도자이다. 그리고 그의 말의 무게는 일반인들과 다르다. 또한 달라야 한다. 다만, 못내 아쉬운 것은 그 지도자뿐만 아니라 여당 그리고 청와대의 반응이다. 예컨대, 1) ‘(대)포로 폭발을 하지 않은 게 어디냐!’에서 2) ‘청와대의 연락사무소 폭파 유감, 강력 대응할 것’까지,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1)과 2)에서 도대체 무엇을 예견하고, 이러한 표현의 수위가 대북정책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 과정인지 그리고 어떤 계획적 접근에 따른 것인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강력대응’이라는 표현이 참으로 안타깝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현 정부의 대북정책은 무엇이라는 것인가! 의문에 답을 구하기 어렵다. 좋은 결과를 위한 것에도 노력과 반성을 위한 분석은 필요하다.

적어도 세 가지를 지적받고 각고의 노력을 해야 한다. 첫째, 전문적이어야 한다. 그 국회의원은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다. 그런 위치가 아니더라도 공적으로 진중해야 한다. 동시에 외교는 내치의 연장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오랫동안 정치를 했으니 이 정도의 자리를 맡아야 한다는 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적어도 학계의 전문가들과 현장에서 근무하는 이들과의 회합을 통해 북한의 의도를 파악하고 북한을 생산적으로 변화시킬 중심의 추를 만들어야 한다. 그 말의 수위로 위치를 변동하라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달라질 것도 없어 보인다. 마치 상황이 불리해지자, 조조가 몰래 철군하려는 것과 비슷하다. 양수의 말 한마디에 전군이 술렁거렸던 것처럼 말이다. 이를 막아야 한다.

둘째, 정책의 구체적 모양새를 갖추어야 한다. 다는 아니겠지만 대안이 없는 대북정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과 노무현정부의 대북정책이 초석을 위한 것이었다면 이제는 이전의 것을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의 항목을 정해야 했다. 소위, 대북포용정책은 1998년에 등장했다. 20년이 넘었다. 그렇다면 지난 세월동안 어떠한 단계와 과정에서 이 정책이 구체적으로 실시되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하지만, ‘강력하게 대응’이라는 현 정부의 표현은 스스로 현 정부의 대북정책이 실패라는 것을 반증한다. 앞선 일화에 빗대어 나관중의 의도를 인용하면 이렇다. ‘아군의 마음이 느슨한 상황에서 적군이 쳐들어왔을 때는 이를 막기 어렵다. 이를 위하여 조조는 임기응변적 전술(?)을 실시하여 큰 변을 막은 것이다.’ 이것까지 조조가 계산하고 계획했다면 그는 대단한 임기응변의 대가이며 전략가이다. 그러나 현 정부에서는 이것마저 없어 보인다.

셋째, 실질적이어야 하며 내외적으로 오판의 구실을 주지 않아야 한다. 내적으로는 ‘그럼 그렇지’라는 전혀 발전적이지 않는 비아냥거림을 막는 동시에 북한의 투트랙(Two Track)의 진위를 예측해야 했다. 물론 북한의 태도는 이해불가이다. 한두 해 격은 것은 아니지만 3월 29일 북한은 동해상으로 발사체를 발사했고, 인도적 지원에 따른 코로나19 방역지원물품을 위한 호의적인 것에도 냉담 하는 등 정부의 유화적 관계모색을 위한 노력에도 북한의 태도는 변화되지 않았다. 이를 가늠해야 했다. 이것으로 모든 것을 재단하고 싶지 않다. 나아가 현 정부의 대북정책의 실패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다만, 조조가 그랬듯이 ‘최고의사결정자만 알고 다른 이들은 모르는 상황’을 전개해서는 안 된다. 만약 조조가 주요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계륵’을 함께 논의하였더라면 아마도 양수도 신중하게 처리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대북정책에서 상당부분 결실도 있었지만, 큰 줄기의 관점에서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지속적이지 못했다는 것을 뜻하는 바, 국가정책은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이제라도 해야 한다. ‘강력대응’이라는 것으로 이전에 해왔던 평화적인 대북정책의 실천이 무산되지 않도록 생산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재고하라는 것이다.

1800여 년 전의 일이 아직도 시중에서 언급되는 것은 여전히 내치와 외교에서 그 접근의 방향이 그다지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이른다. 특히,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이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뜻하면서도 그 신중한 무게감으로 다가오는 교훈이다. 이르자면, 1953년 휴전이후 북한은 변화하는데 그리고 변화되는데 매우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유의 통치방식도 그러하며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의 시각을 투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이렇다. 첫째, 현 정부가 주도적으로 북한의 변화를 도모하려는 인상이 짙다. 근원적으로 한반도에서 두 한국의 안보와 외교의 문제는 남북한의 것만은 아니다. 이번 사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가 아닌 김여정 제1부부장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i) 북한군부의 재점검의 의도 그리고 ii) 북한주민의 심리적 동요를 잡기 위한 일환일 수도 있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분명 현 정부를 압박하려는 것은 사실이다. 한국의 보수 혹은 극우보수 세력들에게 현 정부를 압박하게 할 구실도 주고 있다. 게다가, 외국인 투자가들이 빠져나가고 생계를 위한 긴급자금을 지원할 만큼 어려운 서민경제 등을 감안도 해야 하며 안보의 측면에서는 북한에게 여하한 오판을 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내외전문가들의 의견이 피력되어야 한다. 이를테면 특정 어느 정부의 단독으로 북한의 개방을 유도하려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

둘째, 이 같은 북한의 신경질적 반응은 일종의 인종투쟁이다. ‘여기 내가 있다’라는 것으로 ‘뭔가 말보다 실천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른바 ‘벼랑 끝 위기전술(Brinkmanship)’의 재개이다. 생산적이지도 못하고 비효율적이다. 북한의 이러한 행위는 북한이 외부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몹시 ‘거친 구걸외교전략’이다. 이미 경험한바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정치지도자들의 말은 무거워야 한다.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기도 하지만, 마땅한 해결통로가 없는 상황에서도 ‘있는 듯 보여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다 알고 있다’라는 자세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쉽게 끊고 쉽게 식어버리는 얇은 냄비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은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한다. 전략적으로 그것이 그림자는 될 수 있어도 그늘이 되어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진중하자는 것이다.

이제 정리해보자. ‘학문을 좋아하고 재주가 뛰어나다(好學有俊才)’라고 하여 지도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재주를 적시에 그리고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양수는 이에 적중시키지 못하였다. 당연하지만 국민은 이를 적절하게 응용할 지도자를 보고 싶다. 동시에, ‘가는 만큼 가까워지고 되돌아서는 만큼 멀어 진다’라는 말이 있다. 대북정책이 그렇다. 그럴듯하게 보이려는 업적의 일환이 아니라 공동의 평화적 관계를 위한 상황의 전개와 구체적 계획에 따른 실천이 ‘진중한 말’과 함께 동행되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 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128 원방빌딩 501호(중곡동)
  • 대표전화 : 02-2294-7322
  • 팩스 : 02-2294-732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주연
  • 법인명 : 성광미디어(주)
  • 제호 : 성광일보
  • 등록번호 : 서울 아 01336
  • 등록일 : 2010-09-01
  • 창간일 : 2010-10-12
  • 회장 : 조연만
  • 발행인 : 이원주
  • 자매지 : 성동신문·광진투데이·서울로컬뉴스
  • 통신판매 등록 : 제2018-서울광진-1174호
  • 계좌번호 : 우체국 : 012435-02-473036 예금주 이원주
  • 기사제보: sgilbo@naver.com
  • 성광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성광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gilbo@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