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9년(기해, 己亥) 조선군 대마도를 정벌, 경상도 동래부 소속 도서로 편입하다
1419년(기해, 己亥) 조선군 대마도를 정벌, 경상도 동래부 소속 도서로 편입하다
  • 서성원 기자
  • 승인 2021.08.25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성원의 엉뚱 발랄 성동 이야기] (30) 두뭇개 나루터, 기해동정(己亥東征) 기념비
대마도정벌도 기록화(출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소재지: 서울 성동구 옥수동 367-9 

   2021년 8월 18일, 두뭇개나루터(두모포) 현재 모습, 내가 이곳에 갔을 때 갈매기 한 마리가 강 위에 날고 있었다. 한강이 황해와 연결되었다는 알려주려는 갈매기 같았다. 현재 동호대교 북단, 혹은 이촌한강공원 옥수동 지역에서 조선 시대의 나루터 모습은 전혀 없다. 나루터 자리 라고 생각되는 곳에, 동호대교, 철교, 강변북로, 경의 중앙선, 지하철 3호선, 뚝섬로가 통과한다. 강변에 서면 머리 위에서 달리는 열차와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 소리로 귓속이 멍멍할 정도다. 1419년 대마도 정벌에 나서기 위해 두뭇개 나루에 섰던 이종무 장군, 그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서성원

◆ 독도와 대마도 

2020년 도교올림픽, 일본은 올림픽을 이용해서 독도를 자기네 영토라고 표시했다. 올림픽은 세계인이 주목한다. 이 기회를 노렸던 것이 확실하다. 올림픽이 끝나고 나서도 자료는 남아서 세계 사람들이 볼 것이다. 일본은 그것까지 노렸을 것이다. 일본의 야욕은 집요하다. 

그런데 의문이 들었다.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데, 왜 우리는 대마도를 우리 땅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걸까. 대마도를 조선시대에는 경상도에 포함시켰던 적이 있었다. 우리 영토로 보았던 것이다. 그래서 지도에도 우리 영토로 표시해놨다. 

대마도는 지리적으로도 우리 땅에 가깝다고 한다. 일본 본토의 규슈까지의 거리가 132km이고, 부산까지의 거리가 50km가 채 안 된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해서 대마도 도주(島主)는 우리와 가깝게 지내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우리에게 편입시켜 달라고 한 일도 있었다. 
오늘은 대마도를 정벌했던 역사를 알아보려 한다. 그 역사적인 현장이 옥수동의 두뭇개 나루터(두모포, 豆毛浦)다. 

◆ 대마도 정벌(征伐), 기해동정(己亥東征)

우리나라 영토는 한반도다. 고구려 옛땅에 비추어 보면 통탄할 일이다. 어쨌거나 우리의 역사는 어쩔 수 없이 중국과 얽혀있다. 중국은 우리가 대적하기에 버거운 상대였다. 고구려 때만은 달랐다. 중국과 대등하거나 우위에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주변국 중에 바다 건너 왜(倭)가 있었다. 일본은 우리에게 늘 문젯거리였다.

왜는 한반도에서 문명을 받아들여야 살아갈 수 있는 섬나라였다. 하지만 반도에 위치한 우리는 그들을 무시했다. 그러자 해적질로 나섰다. 그런 일본을 왜구(倭寇)라고 불렀다. 일본 해적이란 의미다. 그러다 힘이 강해지면서 전쟁을 일으켰다. 7년 전쟁이다. 또 한반도를 식민지로 만들었다. 

왜구의 노략질로 골머리를 앓던 시절 중, 고려말 무렵과 조선 초기 때다. 왜구들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왜구들의 본거지를 없애려고 군대를 동원했다. 대마도 정벌이다. 세종 1년이다. 당시에 태종(이방원)은 세종에게 왕의 자리를 물려주었지만 군권은 유지했다. 태종은 왜구들을 무력화하기 위해 대마도를 정벌하기로 한다. 그 출발점이 바로 옥수동의 두뭇개 나루터다. 


- 1419(기해)년 5월 14일. 
대신회의에서 대마도 정벌 논의(태종 주재), 지휘관 임명,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로 이종무(李從茂)와 출전 장수 임명. 
- 1419년 5월 18일.
태종, 세종 두모포(두뭇개)에서 출전 장수 이종무 그 외 장수, 군관 등 환송. 
- 1419년  6월 8일.
거제도 건내량 병선 집결. 정벌군 규모, 전선 227척, 군사 17,285명, 65일분 군량.
- 1419년 6월 19일.
주원방포 출발, 
- 1419년 6월 20일.
 대마도 도착, 정벌 시작, 왜구 배 129척 소각, 민가 등 1,939호 소각, 왜구 114명의 참수, 21명 포로 송환. 
- 1419년 7월 3일. 
거제로 귀환.

이것이 기해동정(己亥東征)의 대략적이 내용이다. 그 이후로 대마도를 정벌한 일은 있었던가. 조선시대 우리의 지도에서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기할 수 있었던 것은 기해동정(己亥東征)이 있어서였을 것이다. 

◆ 두모포 페스티벌

그리고 600년 후, 2019년에 성동구에서 두모포 출정 페스티벌을 열었다.
행사 내용은 이렇다. 
<두모포 야간 전시회> - 여덟 장수 벌룬아트 
6. 10.(월) ~ 6. 30.(일) 
<뮤지컬 페스티벌> 
6. 22. (토) 16:00~19:00, 
<부대행사> - 플리마켓, 참여부스, 먹거리 등
18:00~19:00 
<두모포 출정 러닝>
-두모포 5㎞ 출정 러닝
19:00~21:00

우리 민족이 주변국을 정복하거나 정벌한 일이 적다. 그래서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거의 없다. 올해에 있었던 올림픽에서 일본의 작태를 본다면 성동구의 두모포 출정 페스티벌은 의미가 남다르다. 우리는 주변국에게 당하고만 살아야 하는가? 아니다. 우리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 

그래서 성동구의 두모포 출정 페스티벌은 가치가 있다. 그래서 궁금하다. 페스티벌이 계속되는 행사일지. 단발성 축제로 끝나기엔 아쉬움이 너무 크다. 축제가 계속된다면 사람들은 우리의 역사를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우리 영토에 대한 역사 말이다. 우리가 지금 발을 딛고 사는 이 땅은 과거가 있었기에 오늘이 있다. 우리는 땅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존재들이 아닌가.

서성원
기해동정(己亥東征) 기념비, 2020년 6월, 성동구 세움. Ⓒ서성원
두뭇개 나루터 표지석. Ⓒ서성원
두뭇개 나루터 공원. Ⓒ서성원
<대동여지전도> (출처 서울역사박물관)
<대동여지전도>의 대마도 부분.
<대동여지도>에서 두모포.
성동구청 홈페이지 중 축제 관련 안내

 

2019년 두모포 페스티벌 한 장면 (출처 성동구청)
2019년 두모포 페스티벌 장면 (출처 성동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 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128 원방빌딩 501호(중곡동)
  • 대표전화 : 02-2294-7322
  • 팩스 : 02-2294-732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주연
  • 법인명 : 성광미디어(주)
  • 제호 : 성광일보
  • 등록번호 : 서울 아 01336
  • 등록일 : 2010-09-01
  • 창간일 : 2010-10-12
  • 회장 : 조연만
  • 발행인 : 이원주
  • 자매지 : 성동신문·광진투데이·서울로컬뉴스
  • 통신판매 등록 : 제2018-서울광진-1174호
  • 계좌번호 : 우체국 : 012435-02-473036 예금주 이원주
  • 기사제보: sgilbo@naver.com
  • 성광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성광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gilbo@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