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화석정 타는 불빛
[수필] 화석정 타는 불빛
  • 성광일보
  • 승인 2021.12.16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운식 / 수필가
최운식 / 수필가

지난 해부터 코로나 19의 창궐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고 있다. 그래서 나는 관광명소나 유적지 중에서 사람이 비교적 적게 모이는 곳을 골라 탐방하고 있다. 지난 3월 10일에는 경기도 파주에 있는 장릉(長陵, 16대 인조와 인열왕후의 무덤)을 둘러보았다. 그런 뒤에 파주시 파평면 화석정로에 있는 화석정(花石亭)을 찾았다.

경치가 빼어난 곳에 자리 잡은 화석정은 원래 고려 말기의 문신 길재(吉再)가 조선 개국 후에 벼슬을 버리고 와서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폐허가 되었던 이곳에 율곡 선생의 5대조인 이명신이 세종 25년(1443)에 정자를 세웠다. 그로부터 35년이 지난 성종 9년(1478년)에 이숙함이 '화석정'이란 이름을 붙였다. 율곡 선생은 이 정자를 중수하여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 이곳에서 시를 지으며 학문을 논하고, 이(理)를 연구하였다. 

화석정은 임진강가 절벽 위에 장단 쪽을 향하여 서 있다. 정자에서는 임진강이 흐르는 것을 볼 수 있고, 난간에 기대어서는 서울의 삼각산과 개성의 오관산을 볼 수 있다. 전에는 화석정 주변에 느티나무가 울창하였고, 그 아래 임진강에는 밤낮으로 배들이 오락가락 하였으며, 밤에는 고기 잡는 배의 등불이 호화찬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바로 밑에 도로가 나 있고, 그 아래에는 철조망이 둘러 있어 임진강에 접근할 수 없다. 정자 주변에는 느티나무 몇 그루만이 서 있다.
정자에는 '화석정 중건 상량문'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현판이 걸려 있다. 현판 중에는 율곡 선생이 여덟 살 때(1543년) 지었다는 「화석정시」도 걸려 있다. 

林亭秋已晩  숲 속 정자엔 가을이 이미 깊어 
騷客意無窮  시인의 시상이 끝이 없구나. 
遠水連天碧  멀리 보이는 강물은 하늘에 잇닿아 푸르고 
霜楓向日紅  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해 붉구나.
山吐孤輪月  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해 내고 江含萬里風  강은 만리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머금었네.
塞鴻何處去  변방의 기러기는 어디로 날아가는고
聲斷暮雲中  울고 가는 소리 저녁 구름 속으로 사라지네.

이 시는 주변의 아름다운 풍광과 시인의 정취를 잘 드러낸다. 여덟 살 때 이런 시를 지었다니 그는 어린 시절부터 시적 감각이 뛰어났던 것 같다. 시는 정자 옆의 비석에 번역문과 함께 적혀 있다. 
율곡 선생은 틈이 날 때마다 하인들에게 정자의 마루와 기둥을 기름걸레로 닦도록 하였다. 그가 이 세상을 떠난 지 8년 뒤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선조는 북쪽으로 피난하던 중 임진강 가에 이르렀다. 그런데 폭풍우가 심해 앞을 볼 수 없었다. 그때 임금을 모시던 이항복이 나라에 어려움이 닥치면 열어보라며 남긴 율곡의 봉서를 열어보니 “화석정에 불을 지르라.”라고 씌어 있었다. 기름을 잘 먹인 화석정에 불이 붙자 불길이 솟아올라 나루 근처를 대낮같이 밝혔다. 그 불빛 덕에 선조는 무사히 강을 건넜다고 한다. 

나는 잠시 정자 기둥에 눈을 감고 기대어 서서 당시의 상황을 그려 보았다. 도성을 버리고 파천(播遷)하는 임금과 수행하는 신하들은 황망하여 허둥지둥 이곳까지 왔을 것이다. 그런데 임진강이 앞을 가로막고 있고, 폭풍우가 겹쳐 좌우를 분간할 수 없으니 참담하기 그지없었을 것이다. 이 때 율곡 선생이 남긴 봉서에 쓰인 대로 그가 사랑하며 아끼던 화석정에 불을 질러 파천 길을 밝혔다. 그는 자신의 사후에 임금이 이 길로 파천할 것을 예측하였다. 그래서 틈이 날 때마다 정자의 마루와 기둥에 기름칠을 하고 불을 지르라고 하는 봉서를 남겼던 것이다. 율곡 선생의 충성된 마음과 예지, 선견지명(先見之明)에 놀라움과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일찍이 율곡 선생은 명나라와 일본의 움직임을 살핀 뒤에, 경연(經筵)에서 '10만의 군사를 양성하여 앞으로 뜻하지 않은 변란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유성룡을 비롯한 신하들이 '군사를 양성하는 것은 화단(禍端, 화를 일으킬 실마리)을 키우는 것이다.'라고 하며 강력히 반대하여 국론으로 채택되지 않았다(「조선왕조실록」 중 「선조수정실록」 16권 선조 15년 9월 1일조). 

10만 양병을 주장한 율곡의 의견을 국론으로 채택하여 대비하였더라면 국토가 왜병에게 유린되는 일도 수많은 백성이 도륙을 당하는 일도 임금이 파천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임진왜란 중에 군무를 총괄한 유성룡은 율곡의 의견을 반대하고 무시하였던 일을 후회하며 “이이는 선견지명이 있고, 충성스러운 절의가 있었으니, 그가 죽지 않았다면 반드시 오늘날에 도움이 있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때늦은 후회였다.

당시에 율곡의 양병설에 반대한 이유는 평화로울 때에 백성들에게 전쟁에 대한 불안을 주고, 생업에 종사할 장정을 차출하여 훈련을 하는 것은 생산력을 축소하는 일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는 요즈음 우리가 처한 상황과 겹쳐 보인다. 6·25전쟁을 겪은 대한민국은 정전 상태에서 북의 위협을 안고 살고 있다. 북은 남을 무력으로 적화통일하겠다는 야욕을 버리지 않고 있으며 핵을 개발하여 핵보유국 행세를 하고 있다. 그런데도 일부 정치인이나 국민은 북이 한반도비핵화의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면서 “북이 설마 같은 민족인 우리에게 핵무기를 사용하겠어? 미국에 대한 협상력을 기르려는 것이야!”라고 말한다. 정부에서는 9·29 남북합의서를 들먹이며 북한에 대한 경계를 풀어 놓았다. 

미국과 중국은 세계 질서를 재편하려고 경쟁을 벌이고 있고, 북은 남침야욕을 버리지 않고 있다. 이런 때에 우리는 눈을 크게 뜨고 국제정세를 살펴야 한다. 그리고 북의 야욕이 어떠한가를 주시하면서 국가 안보 태세를 강화해야 한다. 그런데도 국가 안보를 소홀히 하면서 중국과 북한의 비위를 맞추려고 눈치를 살피고 있다. 경계태세를 늦추고 사드 3불 정책을 쓰며 한미연합훈련마저 탁상훈련으로 대체하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 

안보 태세를 강화하라는 국민의 목소리는 마이동풍(馬耳東風), 우이독경(牛耳讀經)과 같이 되어 버린 지 오래되었다. 율곡 선생의 양병설을 무시하였다가 임진왜란이라는 처참한 일을 당한 조선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던 화석정은 80여 년간 빈터만 남아 있다가 현종 14년(1673)에 율곡 선생의 증손인 이후지·이후방이 복원하였으나, 1950년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다. 현재의 정자는 1966년 경기도 파주시 유림들이 다시 복원하였고, 1973년 정부가 실시한 율곡 선생 및 신사임당 유적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단청도 하고 주위도 정화하였다. 건물의 정면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花石亭' 현판이 걸려 있다. 화석정을 바라보는 나의 마음은 걱정스럽기 짝이 없었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불행한 일을 당하게 된다. 화석정이 불에 타는 것과 같은 국가적 불행이 되풀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이란 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 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128 원방빌딩 501호(중곡동)
  • 대표전화 : 02-2294-7322
  • 팩스 : 02-2294-732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주연
  • 법인명 : 성광미디어(주)
  • 제호 : 성광일보
  • 등록번호 : 서울 아 01336
  • 등록일 : 2010-09-01
  • 창간일 : 2010-10-12
  • 회장 : 조연만
  • 발행인 : 이원주
  • 자매지 : 성동신문·광진투데이·서울로컬뉴스
  • 통신판매 등록 : 제2018-서울광진-1174호
  • 계좌번호 : 우체국 : 012435-02-473036 예금주 이원주
  • 기사제보: sgilbo@naver.com
  • 성광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성광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gilbo@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