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발굴조사 결과 현장 공개

광진구, 8일 오후 2시 아차산성 발굴조사 현장에서 1, 2 차 발굴조사 결과 현장에서 공개

2016-09-08     성광일보

1차 발굴조사 결과 아차산성에서 고구려 유물이 출토, 이는 신라가 아차산성을 축조하기 이전에 고구려 세력이 아차산성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운영한 것
2차 발굴조사 결과 아차산성 망대지에서 특이한 방대형 이중 보축 구조물이 확인, 삼국시대 산성의 장수가 군사를 지휘하거나 사열하는 시설인 장대지의 한 사례로 밝혀져

광진구(구청장 김기동)가 삼국시대 주요 산성 ‘사적 제234호 아차산성’남벽, 배수구와 망대지 일대에서 진행 중인 1, 2차 발굴조사 결과를 8일 오후 2시 조사 현장에서 공개했다.

현장에서 구는 우선 아차산성 내 남벽과 배수구 일대 4,575㎡를 발굴 조사한 1차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 남벽과 배수구 주변 산성 내벽 하층에서 연화문와당이 발견됐는데, 이는 아차산성 인근 고구려 유적지인 홍련봉 1보루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일한 형태다. 발굴지점 주변에는 동물 뼈가 매납된 것이 확인됐다.

또한, 신라 유물과 함께 고구려 토기와 기와도 출토됐는데, 신라가 아차산성을 축조하기 이전에 고구려 세력이 아차산성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운영했다는 증거다.

아차산성 남벽 90m 외벽에서는 전형적인 신라의 외벽보축시설과 출수구 3개소, 내벽에서는 입수구 2개소가 발견됐다. 이곳에선 서울, 경기 지역의 삼국시대 산성에서 처음으로 입수구에 사용된 수문석이 확인됐다.

이날 광진구는 올해 3월부터 아차산성 망대지 일대 3,200㎡에 대한 2차 발굴조사 성과도 함께 공개했다. 아차산성 망대지에서는 내·외성벽을 비롯한 치성과 방대형 시설 등이 나왔다. 치성과 방대형 시설은 같은 축선 상에 축조되면서 아차산성의 정상부에 넓은 공간을 확보해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돼, 장수가 군사를 지휘하고 사열하는 삼국시대 장대지의 특이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아차산성 망대지에는 다양한 기와들이 출토됐는데, 그 중에서도 신라의 연화문수막새가 10여점이 일괄 수습돼 주목을 끈다. 또한 삼국시대의 부족한 문헌자료를 보완해 주는 명문자료도 다량으로 확인됐다.